본문 바로가기

가치로운 채움

발달장애 치료 문제행동 교정 지시

반응형

 

발달장애 아동의 경우 할 수 있는 능력이 없거나 부족해서 마땅히 해야 할 행동을 하지 못하기도 하고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루함을 느끼거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서, 또는 주변의 시선을 끌기 위해서 문제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을 교정하고자 할 때는 기본적인 학습 기술(주의집중, 지시 따르기)을 교육하거나 쉬운 과제 수행, 놀이 학습을 하고 난 후 문제행동에 대해 벌하는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문제행동 교정을 위한 응용행동분석 기법

 

1. 큰 소리로 "안돼"라고 엄하게 한 번 말한 후, 되풀이하거나 다른 말을 뒤에 덧붙이지 않기

 

2. 문제행동을 보였을 경우 즉시 아래의 기법을 엄격하고 일관성있게 적용하기

 

3. 아동 스스로 과제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는 치료사가 아동 손을 잡고 강제로 재빨리 수행시키기

 

4. 타임아웃 : 문제행동을 보였을 경우 즉시 그 상황에서 다른 상황으로 격리하기(15초 이내)

                       구석에 세우기, 구석에 의자 두고 벽을 향해 앉히기 등

 

5. 과잉교정

 원상복원 : 문제행동으로 인한 잘못된 상황을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흘린 밥알을 모두 줍도록 하기, 오줌을 걸레로 닦도록 하기 등

 

 과잉연습 : 아동의 문제행동을 바로 잡는 연습을 반복하여 시키기

                   오줌을 눈 경우 화장실 가는 연습 10회 내외 반복하기, 문을 쾅 닫은 경우 문 닫는 연습 10회 내외 반복하기

 

6. 소거 : 문제행동에 관심을 주지 않고 무시하기

 

7. 포만 : 종이찢는 등 문제행동을 보였을 경우 동일한 행동을 질릴 때까지 시키기

               침이나 오염 물질을 손으로 문지르는 행동을 한 경우 그 대신 로션을 다리에 실컷 문지르게 하기

 

8. 반응대가 : 아동에게 특정 권리를 주고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권리를 빼앗기

                      미리 토큰을 10개 준 후 토큰과 과자를 바꿔먹을 수 있도록 하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반향어를 하지 않은 경우 토큰 한개를 과자와 바꿔 먹도록 하기

                      반향어를 한 경우 "따라하면 안돼" 라고 말한 후 토큰을 빼앗기

 

9. 조건부 운동 : 문제행동과 비슷한 운동을 강제로 시키기

                            아무 곳에서나 드러누운 경우 윗몸 일으키기 시키기

                            머리를 손으로 때린 경우 팔을 머리 위로 올렸다 내렸다를 시키기

                            물건을 던졌을 경우 블록을 상자에 옮기도록 하기

 

10. 체계적 둔감법 : 불안이 극심한 경우 불안을 점진적으로 둔화시키기

                                 불안을 일으키는 요인을 확인하기

                                 불안자극의 위계를 정하기

                                 초기에 감당 가능한 수준의 미약한 자극에 노출하기

                                 치료실 들어오게 하기-문 밖에서 시작해서 점차 가까이 오도록 거리 좁혀나가기

 

11. 아동이 강화 받을 수 있는 어떠한 바람직한 행동이 가능한지 확인한 후에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한 원칙

 

12. 용수철 효과때문에 장애 아동이 문제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하면 일시적으로 멈추는 듯 보이지만 통제가 제거되면 문제행동 재발생

 

13. 문제행동 치료 과정

    아동이 쉽게 수행 가능한 단순한 과제를 주기

    치료사가 도움을 주어서 과제 수행을 성공시키고 강화하기

    문제행동이 나타나면 미리 계획된 방법으로 즉각 통제하기

 

14. 강화조건(If-then) 학습

    무엇을 하면 강화 받는지 인식시키기

    시작과 끝이 분명한 과제를 활용하기

    기능이 높은 경우 지시 따르기 훈련을 실시하기

 

15. 지시따르기 훈련 3단계

  1단계 : 말로 지시를 내리고 과제를 수행하면 강화, 5초 내에 지시를 수행하지 않으면 2단계

  2단계 : 손짓으로 다시 지시 내리고 과제 수행하면 강화, 2단계에도 하지 않으면 3단계

  3단계 : 아동의 손을 잡고 촉진, 강화는 하지 않음

 

16. 충동적인 아동인 경우 무릎 위에 손 올려두기 등 아동이 충동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지시한 후에 과제 수행 

 

 

주의 집중과 지시 따르기 교육

1. If-then 관계 학습

  언제 강화 받고 언제 통제 받는지 학습 시키기

  간단하고 눈으로 확인 가능한 과제 선택하기

  초기에는 아동의 손을 잡고 수행하기

  점진적으로 도움의 양을 줄여나가고 스스로 수행하도록 함

  아동 스스로 독립적인 과제 수행하도록 하기

 

2. 주의집중 지도

 바닥에 놓인 사다리 건너기 등 주의집중을 하지 않으면 불편함을 겪는 과제 수행 시키기

 통 속에 블록 놓기 등 단계를 점진적으로 어렵게 하기

 

3. 물건 쳐다보기

 아동과 마주보고 앉기

 좋아하는 물건을 숨기고 있다가 갑자기 아동 눈 앞에 보여주고 아동이 쳐다보면 강화하기

 시간을 점차 늘리고 강화를 천천히 주기

 물건을 상하좌우로 돌리면서 아동의 주의집중을 향상시키기

 

4. 눈맞춤

 아동과 치료사가 마주보고 가까이 앉기

 치료사 눈 가까이 과자 등을 대고 눈을 쳐다보게 하기

 점차 과자 없이 치료사의 눈을 아동의 눈과 가까이 대고 쳐다보기 시작하기

 

5. 지시 따르기 단계

 의자에 앉아

 물건 가져와

 고리 끼우고 와

 

6. 강화 시 주의할 점

 포만 상태를 피하기 위하여 강화물을 다양화 할 것

 보상물에 희소성이 있을 것

 초기에는 강화를 즉시, 연속적으로 할 것

 나중에는 간헐적 강화, 이어서 사회적 강화로 바꿀 것

 

7. 문제행동을 중재하는 경우 우선 문제행동이 일어나지 않을 환경을 만들어주고, 통제 받는 행동 이외의 다른 긍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하여 강화 기회를 주며 한 번에 한 가지의 문제행동만을 통제하기

 

8. 문제행동 치료의 장소와 시기

 일정한 장소에서만 치료

 한 번에 10~15분만 치료

 하루에 4~8차례만 치료

 치료시간 외에는 문제행동 무시, 혹은 안전장치 해주기

반응형